불안장애 완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법 셀프 케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손에 땀이 나며 숨이 가빠지는 증상이 일상에서 반복될 때, 많은 사람들이 "그냥 스트레스겠지"라고 넘기곤 한다. 하지만 이런 불안 증상이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국정신건강연구소의 2024년 조사에 따르면 성인 10명 중 2명이 일상적인 불안감을 호소하며, 이 중 30%는 전문적 치료가 필요한 수준의 불안장애를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다행히 불안장애는 인지행동치료(CBT)를 통해 상당한 개선이 가능한 질환이며, 일부 기법들은 스스로 실천할 수 있어 셀프 케어의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다. 인지행동치료의 핵심 원리 필자도 2년 전 극심한 불안장애로 고생한 경험이 있다. 새로운 직장으로 이직한 후 적응 스트레스가 겹치면서 시작된 증상이었는데, 처음에는 단순한 환경 변화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어 결국 정신건강의학과를 찾게 되었다. 담당 의사는 "불안은 생각-감정-행동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악순환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실수하면 어떻게 하지'라는 생각이 불안한 감정을 만들고, 그 감정이 회피 행동으로 이어지며, 회피는 다시 '역시 내가 부족해'라는 부정적 생각을 강화시키는 식이었다. 생각-감정-행동의 연결고리 인지행동치료의 기본 전제는 이 세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변화시키면 전체적인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김현정 교수는 "인지행동치료는 단순히 긍정적으로 생각하라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균형 잡힌 사고 패턴을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한다. 실제로 하버드 의과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불안장애 환자의 75%에서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치료 종료 후에도 그 효과가 2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약물치료와 달리 인지행동치료는 재발률이 현저히 낮다는 것이다. 자동적 사고 찾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