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근무자를 위한 수면 리듬 조절 실전 가이드

밤 12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잠자리에 들 시간에 출근하는 간호사 김현주씨(31세)는 매일 같은 고민을 안고 산다. "오늘도 제대로 잘 수 있을까?" 3교대 근무를 시작한 지 5년째, 여전히 수면 패턴을 잡는 것은 매일의 숙제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근로자의 약 15%가 교대근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수면 장애를 경험하고 있다. 교대근무자의 수면 문제는 단순히 '밤에 못 자는' 수준을 넘어선다. 우리 몸의 생체리듬인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이 근본적으로 흔들리면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교대근무가 우리 몸에 미치는 실제 영향 인간의 뇌에는 시교차상핵(SCN)이라는 생체시계가 있다. 이 내부 시계는 빛과 어둠을 감지해 약 24시간 주기로 우리 몸의 각종 호르몬 분비와 체온 변화를 조절한다. 문제는 교대근무가 이 정교한 시스템을 완전히 뒤흔든다는 점이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우리 몸은 저녁 9시경부터 멜라토닌 분비가 시작되어 자연스럽게 졸음을 유도한다. 하지만 야간 근무를 하는 동안에는 인공조명에 노출되어 멜라토닌 분비가 억제되고, 낮에 잠들어야 할 때는 오히려 각성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되어 잠들기 어려워진다. 실제로 교대근무수면장애(Shift Work Sleep Disorder) 연구에 따르면, 교대근무자의 약 23%가 이 질환을 겪고 있으며, 일반인 대비 불면증 발생률이 3배 이상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교대 패턴별 맞춤 수면 전략 야간 고정 근무 (오후 11시~오전 7시) 야간 고정 근무는 패턴이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어 상대적으로 수면 리듬을 맞추기 쉽다. 핵심은 '가짜 밤'을 만드는 것이다. 퇴근 후 집에 도착하면 즉시 암막 커튼을 치고 모든 조명을 차단한다. 이때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귀가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햇빛 노출이 각성을 유도하는 코르티솔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수면 환경 조성이 완료되면 오전 8-9시경 잠자리에 들어 오후 ...